
깃허브 403 에러가 뜬다.

팀 레포지토리에서 아무 파일을 생성하니 위와 같은 메세지가 떴고..
권한을 하고 수정한 후에 push 를 날렸다 -> 성공!
암호화와 동기화에 관해서 소마 멘토님께 질문을 남겼다
1. 암호화
암호화는 기본적으로 ssl 을 통해서 진행하면 내가 생각하는 정도의 암호화는 진행된다고 하셨다. ( 가능 도중에 중간 단계에서 패킷 보는 것 안됨)
그러나 우리는 todo list 를 만들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들어가게 되고, 그로 인해 데이터베이스 자체에도 암호화해야 생각했다. 그래야 백엔드를 포함한 제3의 인물이 해당 투두의 내용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저장하게 되면 문제점은 사용자의 버그 리포팅을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저 30일에 '친구랑 밥먹기' 넣었는데 사라졌어요 복구해주세요' 와 같은 요구를 받았을 때 찾기도 힘들고 넣어주기도 힘들고 등등이 된다..
뭐 그래도 일단 암호화는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하셨다
공개키 암호키 + 대칭키의 개념을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 공개키, 개인키
서버 : 공개키

대략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이런식으로 하면 문제가 ai를 넣기 애매해진다... db에도 암호화를 해서 넣었는데.. openai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낸다는 건 상당히 말이 맞지 않는다..!
그래서 암호화를 열심히 포기해봤다!
그래도 학교에서 배웠던 내용들이 궁금해지니 content만 한번 작게 암호화를 진행해볼 예정이다!
2. 동기화
참고할 앱 : keep.google
일단 어플로 개발하니 debounce를 사용해서 약 1초간 입력이 없다면 동기화될 수 있도록 request를 보낼 에정이다!
멘토님 감사합니당!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관련] Lexorank 적용기 종장 (2) | 2024.07.28 |
---|---|
[개발관련] lexorank 적용기 3 (2) | 2024.07.24 |
[개발] lexorank 적용기 1.5 (1) | 2024.07.22 |
[개발 관련] lexorank 적용기.. (0) | 2024.07.18 |
[개발 관련] docker compose 문제 (0) | 202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