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문서 작업 | 독서2 [독서]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4장 5장 4장 처리율 제한 장치의 설계 우리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특히나 유료서비스와 무료서비스의 차이가 llm 을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느냐인 만큼 사용해야할 것으로 보인다!일단 우리 서비스의 경우에서는 버킷 정도로 구현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봤다...일단 조건은 다음과 같은데서버에서 제한한다.api 호출 제한은 user_id 를 통해서 진행한다시스템 규모는 스타트업 정도의 규모분산 처리 안함.정도 였다.그래서 뭔가 부하가 적으면서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버킷이 괜찮지 않나 생각해봤는데 월요일에 팀원분들과 이야기해봐야지얘기한 후에 api 개발이 끝나면 서비스에 적용해봐야겠다. 5장 안정해시 설계서버 부하를 균등하게 나누는 것에 관련한 내용일단 캐시를 사용하거나 뭔가 서버가 여러개이고 로드밸런.. 2024. 8. 30. [문서] 중간평가 준비하기 오늘은 중간평가를 준비했다.오늘 안에 1차적인 모든 보고서 및 ppt를 만들것이다.왜냐하면 내일 마감 비슷하게 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를 얼른 썼다.. 보고서에서 ERD 필요해서 얼른 만들었다.저번에 멘토님께서 알려주신 django 에서 바로 ERD 만들기가 생각나서 참고했다.일단 처음에 참고한 블로그이다. https://velog.io/@yeop/Django-model-graph-%EC%B6%9C%EB%A0%A5 Django model graph 출력협업은 문서화다. 그 문서화 중 erd를 쉽게 그려주는 graphviz를 소개하려고 한다.velog.io 근데 나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진행했다. brew install graphviz일단 graphviz를 brew 로 다운로드 받아준다.그 다음 블로그에 나.. 2024. 8. 17. 이전 1 다음